서울시에서 고령자 주거 안정 대책방한으로, 2027년 입주를 목표로 어르신 안심주택 공급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어르신 안심주택은 역세권 등 교통이 편리하고 병원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는 물론 안전설계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어르신 안심주택
- 임대료, 주거환경, 생활편의 등 어르신의 신체/경제적 여건을 최우선 고려하여 공급합니다.
- 역세권, 교통이 편리하고 병원에 가까운 곳에 위치합니다.
- 무장애 및 안전설계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 2027년 첫 입주를 목표로 추진합니다.
어르신 안심주택 공급 내용
- 65세 이상 무주택 어르신 1인 또는 부부가구를 위주로 민간과 공공유형으로 공급합니다.
- 저렴한 주거비와 고령자 맞춤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
- 민간 임대주택 수준의 임대료로 공급하고 공용공간에 마련되는 주차장 등에서 나오는 수익을 관리비에 반영, 관리비 부담도 덜 계획입니다.
-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 어르신의 주거 안전을 위해 주변시세의 30 ~ 50% 수준으로 공급합니다.
- 민긴임대주택은 최대 6천만 원까지 보증금 무이자 융자도 지원합니다.
- 생활 편의 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역세권 350m 이내 간선도로변 50m 이내와 보건기관, 2/3차 종합병원 인근 350m 이내에서 사업을 추진합니다.
- 무장애 및 안전설계를 적용하며, 응급 구조 요청 시스템도 설치합니다.
- 모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이용하도록 어르신 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동 운영할 계획입니다.
청년 안심주택과 어르신 안심주택 비교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받으세요. (0) | 2024.02.13 |
---|---|
2024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2) | 2024.01.31 |
2024년 한부모가족지원 이렇게 달라집니다. (1) | 2024.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