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84 결혼자금 증여세 - 혼인공제로 1억 추가 증여세는 타인의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한 재산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증여를 일정한 거래로 보고 이를 증여세의 과세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증여 받은 자가 내는 것이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증여를 받은 사람은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현행 증여세 공제 한도 증여자 증여세 공제한도 배우자로부터 증여받는 경우 6억 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5천만 원(미성년자 2천만 원) 직계비속으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5천만 원 이외의 친족으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1천만 원 증여세 세율 증여세는 1억 원 이하의 경우 10%로 과세되니 현재 기준으로 1억 5천만 원 증여 시 5천만 원을 공제하고 나머지 1억 원에 대해 10% 세율인 1천만 원이 과세되.. 2023. 8. 14. 보증금 지원형 : 서울시 SH공사 장기안심주택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이란 전세 세입자가 입주를 원하는 주택 전세보증금의 30%(4500만 원 한도, 특별공급 6,000만 원 한도)을 서울시에서 지원하여 , 최대 10년까지 전세보증금 인상 걱정을 덜고 거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합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전세 보증금의 30% 금액으로, 1억 원 이하 전세보증금의 경우 50% 금액(최대 4500만 원 한도)을 무이자 지원합니다. 재계약 시 : 전세 보증금의 경우에는 10% 이내의, 전세 보증금 인상분의 30%를 무이자 지원합니다. 2년마다 재계약이 이뤄지는 경우, 일반공금 신청자격 유지 시 4회까지 재계약 가능, 최대 10년간 거주가 가능합니다. 대상 주택 : 전용면적 60㎡이하이고, 전세 보증금 2억 900.. 2023. 8. 10.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소득세란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 등과 파생상품의 양도 또는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 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출처 - 국세청) 부동산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과세대상 부동산 등의 취득일로부터 양도일까지 보유기간 동안 발생된 이익, 소득에 대하여 일시에 과세하게 됩니다. 부동산 등의 양도로 인하여 소득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손해를 본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 비과세 되는 경우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2년 이상 보유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양도일 당시 실거래가액이 12억 초과하는 고가주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17.8.3.. 2023. 7. 31. 소상공인 냉난방기(에어컨) 지원사업 - 교체 지원금 160만 원 신청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운영되는 본 사업은 소상공인 냉방기/냉난방기 구매비용 지원사업입니다. '15년 12월 31일 이전에 제조된 구형 냉방기, 냉난방기를 에너지 효율 1등급의 신품 기기로 교체하는 경우 구매금액의 40%를 지원해 줍니다. 소상공인 냉난방기 지원사업 신청기간 : '23년 7월 17일(월) ~ '23년 12월 29일(금) ※예산 소진 시 사업 조기 종료 사업예산 : 300억 원 목적 :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지원으로 소상공인의 에너지 소비 효율화 유도 지원대상 소상공인으로서 '15년 12월 31일 이전에 제조된(실외기 기준) 냉방기 또는 냉난방기를 사용 중인 자 지원기기 : 에너지효율 1등급 냉방기/냉난방기 신품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효율 1등급 인증제품으로 교체 시만 지원됩니다. 기존기기와 신규.. 2023. 7. 2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1 다음